-
24.04.17 하워드 막스 메모: The Indispensability of Risk경제/거장 탐구 2024. 9. 23. 14:57
리스크(Risk)의 필요성
'리스크의 필요성', 투자에서 이를 리스크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하워드 막스는 마찬가지로 투자에서 위험/수익측면에서 감내할 것이 있다고 말합니다. 메모는 그의 동료가 전달한 월스트트 기사에서 시작됩니다. 기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체스게임에서 희생(sacrifice)이 중요합니다. "가치 있는 무언가를 내주지 않고는 좋은 포지션을 얻을 수 없고 구할 수 없습니다. 하급 폰에서 강력한 퀸에 이르기까지요(의역)"
- 한 어머니는 두살베기 형제를 자메이카에 두고, 미국으로 가서 자신과 아이들을 위해 더 나은 삶을 찾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10년 후에 목표를 달성했고, 아이들을 미국으로 데려왔습니다. 여기서 어머니가 진짜 희생을 감수하는 데 있어 핵심은 위험을 감수할 의지를 기꺼이 받아드렸다는 사실입니다(의역).
메모에서는 무위험자산이 10년 미국 국채를 사는 것은 가짜 희생(sacrifice)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투자에서는 진짜 희생(sacrifice) 이 수반되지만, "즉각적이지도, 가시적이지 않은 수익을 추구하다"보면 손실에 대한 리스크(Risk)를 부담해야 합니다.
위 글을 통해 진짜 리스크를 가짜, 진짜가 있고, 진짜 희생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간접적으로 말합니다. 그렇다면 하워드가 막스가 생각하는 리스크는 무엇일까요?
하워드 막스가 생각하는 리스크
1.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위험(The Risk of Not Taking Risk)
평소 하워드 막스는 미래는 본직적으로 불확실하고, 리스크는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보통 (a) 위험을 피하고 수익이 거의 없다시피 하는 것, (b) 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그에 상응하는 적당한 수익에 안주하는 것, 또는 (c)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과 수익을 추구하지만, 그와 동시에 영구적 손실 가능성을 수용하는 것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a), (b)를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C)를 추구하는데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든 높은 수익을 얻으려면 '의미 있는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즉 절대적인 이익을 추구하면서 손실에 대한 가성성이나, 아웃퍼폼한 성과를 추구하면서 성과가 저조할 가능성과 같은 '의미 있는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위험이 없으면 보상도 없습니다. 고통이 없으면 이익도 없습니다.
패배가 없다고 꼭 유용한 것이 아닙니다.
위험 회피는 수익회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위험을 너무 적게 감수하는 위험이이라는 것입니다(의역)2. 위험 감수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How to Think About Risk-Taking)
Risk - Taking의 역설은 피할 수 없습니다. 경쟁이 많고 가치있는 분야에서 성공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하지만 위험을 감수한다고 해서 성공할 수 있는 것은 또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를 두고 위험(Risk)라고 합니다. 장기간에 걸쳐 높은 수익률을 얻었다고, 반드시 일관된 성공을 이루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막스는 메모에서 다음과 같이 조언합니다.
성공은 많은 투자를 하는 데서 비롯될 가능성이 크다.
모든 투자는 성공할 것으로 기대하여 시도하지만, 일부는 성공하지 못할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시도해야 한다.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된지만,
위험을 감수한다고 해서 돈 벌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서도 안 된다.확실한 희생(진짜 희생, 진짜 리스크)를 해야 하지만,
능숙하고 지적으로 감정을 통제하면서 해야 한다.'경제 > 거장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09월 21일 켄 피셔가 생각하는 금리 인하에 대한 생각 (6) 2024.09.22 24.09.19. 하워드 막스의 메모 요약: Shall We Repeal the Laws of Economics? (2) 2024.09.20 2024년 08월 24일 켄 피셔가 말하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생각 (0) 2024.08.24 미국 패권 100년 간다 (feat. 신한은행 오건영 팀장) (1) 2024.07.20 피셔 인베스트먼트의 설립자 켄 피셔가 말하는 1967년과 2023년의 시장 유사점을 비교 (1) 2024.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