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샵의 법칙(Sahm Rule): 실업률로 경제 침체를 예측하는 간단한 도구경제/경제 & 회계 용어 2024. 8. 24. 23:35
샵의 법칙(Sahm Rule)이란?
샵의 법칙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의 경제학자인 클라우디아 샵(Claudia Sahm)이 개발한 지표로, 경제 침체가 시작되었음을 신속하게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법칙은 실업률을 주요 지표로 삼아, 현재의 경제 상황을 간단하게 분석합니다.
클라우디아 샴(Claudia Sahm) 하지만 샵의 법칙을 이해할 때, Rule이란 단어가 보다는 일종의 "가설", "가정"이라는 용어가 적합하다는 주장이 상당히 많습니다. 경제 매커니즘을 실업률이라는 한 가지 변수로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기때문입니다. 그럼에도 경기 침체 시기에는 실업률 폭증, 혹은 물가 급등과 같은 사건이 함께 했으니, 매크로 도구로 활용하기 좋은 지표라고 생각됩니다.
샵의 법칙(Sahm Rule) 정의
샵의 법칙에 따르면, 최근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지난 12개월 중 최저 실업률보다 0.5%포인트 이상 상승할 경우, 이는 경기 침체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단 하나의 변수로 경기침체를 예측한다는 한계가 있지만, 도구의 단순함과 신속한 침체에 대한 경고를 통해, 투자자들의 대응할 수 있는 시간과 생각을 제공한다는 면에서 유용합니다.
최근 3개월 평균 실업률 - 최근 12개월 실업률 최저점 ≥ 0.5%
샵의 법칙(Sahm Rule)이 작동하지 않은 경우
샴의 법칙은 3개월 평균 실업률과 지난 12개월 실업률 차이가 벌어지면 미국 경기 침체에 진입한다는 주장입니다. 그 논리를 살펴보면, 실업률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부정적 피드백 루프(Negative Feedback Loop)가 작동하여 경기 침체에 빠진다는 것입니다. 근로자가 실직하면 소비를 줄이고, 그러면 기업은 더 적은 수의 근로자를 필요하게 되는 수요-공급이 점차 줄어드는 악순환이 샵의 법칙이 말하는 주요 논거입니다.
2023년 11월 볼롬버그 기사(링크)에서 클라우디 샴은 샵의 법칙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판데믹 이후 노동시장은 급변했습니다. 2년 넘게 심각한 노동력 부족에 시달린 미국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되기보다, 근로자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노동시장이 회복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취업 비자를 가지고 이민자들이 입국하고 있는 추세가 지속된다면 샴의 법칙처럼 실업률을 기준으로 한 경기침체가 이번 사이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민자들이 늘어나는 추세, 노동시장이 회복되면서 실업를이 상승하는 상황이 왜 경기침체와 연관성이 떨어질까요? 이를 위해 최근 사건을 이야기를 꺼내보겠습니다. 최근 미국의 실업률 데이터 조작(??)사건으로 실업률이 가파르게 상승하여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2024년 8월 시황]. 그렇다면 골드만 삭스와 연준은 실업률 보고서를 미뤘을까요? 이는 부정적인 실업률 보고서가 시장 참여자들의 부정적인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과 실업률이 미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실업에는 세 가지의 유형이 있습니다. (1) 더 일하고 싶은데 해고되었거나, (2) 더 좋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잠시 실업 상태(마찰적 실업)이거나, (3) 일 할 마음을 먹고 새로 노동 시장에 막 들어왔지만 일 자리를 찾지 못햇을 때 실업률이 증가합니다. 최근 미국은 자발적 이직이 줄고 있는 데, 이는 노동 시장 과열이 균형으로 되돌아오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한편, 과거와는 달리 노동 시장의 신규 진입 인원이 커지면서 실업률이 상승했습니다. 이는 남부 국경에서 불법이민자들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상승한 측면이 있습니다.
결론은 최근 실업률 증가는 취업하기 위한 입국한 외국인들의 급증때문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마찰적 실업의 감소로 일부 오른 실업률이 진정될 것이지만, 취업비자를 받은 외국인 유입뿐만 아니라 불법이민자때문에 노동 참여 인구의 증가하여 실업률이 올랐다고 생각됩니다.
'경제 > 경제 & 회계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E vs ROIC: 기업의 성장, 효율성의 핵심지표 (1) 2024.10.17 R&D의 자본화(R&D Capitalization) - 부제; DCF분석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 (6) 2024.09.28 개발도상국 무위험이자율 구하는 방법 (0) 2024.08.02 운영 효율성 비율(Operational Efficiency Ratios): 기업의 경쟁력 및 건전성의 척도 (0) 2024.07.12 CAPM을 할인율로 활용하는 이유 (0) 2024.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