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서치 콘솔 소유권 확인[DNS 레코드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 확인]SNS 수익화 탐구하기 2024. 1. 25. 23:29
수동으로 블로그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는 방법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티스토리 플러그인으로 서치콘솔 등록했다면, 해당 포스팅을 보실 필요 없어요.
하지만!! 이미 콘솔등록을 했어도, 7단계 RSS, XML 추가를 확인해 주세요.
1단계: 오른쪽(URL 접두어)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 붙여 넣기
왼쪽에 있는 '도메인'에 주소를 등록하기 위해서 개인 도메인이 필요합니다. 다시 말해서 본인이 구매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 경우 사용하시면 됩니다.
2단계: HTML 태그를 복사하기
소유권 확인하라는 메시지창이 나타납니다. 위 그림처럼 HTML 태그를 복사합니다.
3단계: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메뉴 왼쪽하단에서 '스킨 편집' 클릭
4단계: 스킨편집에서 'html 편집' 클릭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메뉴 왼쪽 하단에 '스킨편집'을 누르면, 오른쪽 그림과 같은 스킨편집창이 보입니다.
스킨 편집창에서 'html편집'을 클릭합니다.
5단계: html의 <head> 의 밑에 DNS 설정 붙여 넣기
html 상단에 <head> 표시가 보입니다. <head> 밑부분에 DNS 설정을 붙여 넣기 합니다.
6단계: 'DNS 레코드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 확인'으로 돌아와서, '확인' 버튼 클릭하기
7단계: sitemap.xml, rss 입력하기
구글 서치 콘솔의 왼쪽 메뉴의 'sitemaps'를 클릭하고, 새 사이트 맵에 rss, sitemap.xml을 추가해 주세요.
두 키워드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가 풀네임으로 웹 기반의 데이터 교환 및 공유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
'SNS 수익화 탐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1 태그란?] 구글 SEO를 고려한 블로그 글쓰기 (3) 2024.01.26 티스토리 블로그가 구글에 검색되지 않는 이유와 해결책(구글서치콘솔, 색인요청) (2) 2024.01.25